남침이 시작된 1950년 6월 25일 아침 비상 소집된 본보 사원들은 시시각각 들려오는 전황에
따라 호외를 발행하다 27일 오후 남침 선봉대가 이미 의정부를 거쳐 미아리 부근까지
내려왔다는 소식에 제작 중단 결단을 내린다. 편집국에 모인 기자와 인쇄직원들은 ‘적, 서울
근교에 접근, 우리 국군 고전 혈투중’이라는 제목의 호외 300장을 마지막으로 발행하고 서울
시내 일원에 직접 배포한 뒤 무교동 설렁탕집으로 모였다.
신문사 가운데 최후의 호외를 낸 기자정신을 자축하는 술잔도 잠깐, 이들은 재회를 기약하며
뿔뿔이 흩어졌다. 그후 본보는 국군과 유엔군의 진퇴에 따라 피란지 부산을 오르내리며
지역신문에 ‘구걸 인쇄’도 마다하지 않고 신문 제작을 계속했다. 국민방위군 사건과 거창
양민학살 사건, 발췌개헌안을 둘러싼 정치파동 때는 이승만 정부의 극심한 탄압을
받으면서도 비판의 강도를 낮추지 않았다.
본보는 1953년 7월 27일 휴전협정 이후 8월 18일자를 끝으로 부산 피란시대의 막을 내리고
광화문 사옥으로 돌아왔다.
1955년 2월 1일자부터 연재된 김성환 화백의 ‘고바우 영감’은 1958년 1월 23일자 ‘
경무대에서 똥 치는 인부’로 경무대의 위세를 풍자해 장안의 화제를 모았다. 당시
권력자에게 무조건 아부하는 풍조를 반영한 것으로, 이 만화의 배경은
이강석(이기붕의 아들로 이승만 대통령의 양자)을 사칭해 지방 관리들에게 극진한
대접을 받은 ‘가짜 이강석’사건이었다. 김 화백은 경찰에 연행돼 ‘타인의 사사(私事)에
관하여 허위사실을 게재’했다는 이유로 ‘경범’으로 몰려 450환의 과료를 낸 뒤
풀려났다.
1980년 11월 11일부터 김 화백의 뒤를 이어 ‘나대로 선생’을 그려온 이홍우 화백 역시
첫 호부터 계엄령하의 군 검열로 난산을 거듭했다. 그는 정보기관에 의한 수차례의
연행조사와 협박, 회유공작에도 굴하지 않고 4컷 만화로 권력세계를 예리하게
풍자해왔다.